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국가부도의 날 영화 리뷰, 영화로 보는 경제 공부

by audenstudio 2021. 12. 16.
반응형

구글, 국가 부도의 날 포스터

 

 

1. 영화로 보는 경제 공부

국가 부도의 날은 2018년 개봉한 최국희 감독의 두 번째 장편영화다.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영화의 주요 배경은 우리나라의 1997년 외환 위기를 다루고 있다. 이때를 겪어보지 못한 이들에게는 역사를 담은 영화일 것이다. 또한 이때의 아픔을 몸소 느낀 세대한테는 안 좋은 기억과 그땐 그랬었지 하는 회고를 할 수 있는 영화일 것이다. 줄거리를 소개하자면, 포스터에도 나와있듯 IMF라는 한 사건이 다양한 인물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우리나라 모든 국민들에게 영향을 끼친 사건인만큼 영화에서도 인물들을 번갈아가면서 내용을 풀어가는 연출을 선택했다. 먼저 국가 위기의 상황에서 베팅을 선택한 윤정학(유아인)은 우연히 버스 라디오에 나오는 낙관적인 한국 경제 상황과는 달리, 한국의 실물경제가 비관적인 이웃 사연들을 마주치게 된다. 의구심을 품은 윤정학은 결국 위기가 올 것이라는 데에 베팅하기로 마음을 먹고 퇴사하게 된다. 그 후 작은 투자회사를 차려 투자자를 모집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한국 경제가 한순간에 무너질 거라는 이야기를 듣고 투자하는 사람들은 적었다. 모두 좋은 것들만 보려 했다. 단 두 사람만 남았다. 노신사와 젊은 오렌지족 청년이 윤정학과 함께 투자하게 된다. 한화를 죄다 달러로 환전하고, 이들은 결국 나라가 망해갈수록 자신들의 재산을 올라가는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동시에 막는 자인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김혜수)는 1997년 한국 위기가 오기 전, 몇 차례 위기가 올 것이라는 증조를 눈치챘던 인물이다. 이 사실을 누구보다 먼저 한국은행 총장에게 보고하지만, 위기가 올 때까지 한시현의 말은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다. 좋게 끝날 것이라는 대책 없는 낙관주의가 쌓여 큰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위기가 터지고 나서야 허둥지둥 비공개 대책팀을 꾸려 막아보려 하지만 이미 많이 늦은 상태였다.

한편, 당시의 대다수의 국민들의 삶을 보여주는 갑수(허준호)는 작은 공장의 사장이자 평범한 가장이다. 조금씩이지만 자신의 조그마한 사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중이었다. 그러던 중 대형 백화점과의 어음 거래 계약을 하게 되었고, 공장이 잘 될거라는 행복을 꿈꿔왔다. 국가위기가 터질 줄은 아무도 몰랐다. 그러던 중 뉴스엔 국가 위기라는 뉴스가 나오고, 믿었던 회사들이 하나둘씩 무너지기 시작했다. 어음 계약을 했던 갑수의 공장도 한 순간에 부도 위기에 처한다.

2. IMF

1997년에 발생한 IMF를 몸소 느껴보지는 못했다. 너무 어린 시절의 이야기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역사책에서만 보던 이야기를 생생한 영화로 다시 보게 되니, 그때의 암담한 모습들이 더욱 잘 느껴졌다. 역사를 주제로한 영화들이 많이 나오는데, 물론 픽션도 많이 섞이겠지만 어느 정도의 역사적 사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은 역사를 주제로 한 영화들의 장점인 듯하다. 극 중 수차례 IMF라는 국가 부도의 상황이 오기 전부터 막을 수 있었던 상황이 존재했었다. 한시현의 시점에서 그러한 이야기가 흘러가는데, 이 스토리를 보면서 과거 임진왜란의 경우가 생각나기도 했다. 지혜로운 사람의 예견을 무시하다 결국 일이 터지고 나서야 정신 차리는 모습은 언제나 반복되는 역사의 모습인 듯하다. 

 

3. 총평

개인의 투자자의 입장으로만 바라본다면, 위기의 상황은 오히려 기회일 수 있다. 극 중 윤정학의 입장과도 같은 것이다. 재작년 터진 코로나와도 같은 상황인 것 같다. 국가 전체가 흔들리는 부도 상황까지는 아니였지만 코로나가 터지자마자 코스피가 엄청나게 하락하고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졌었다. 하지만 지금에서야 다시 되돌아보면 그때는 위기이자 엄청난 수익을 낼 수 있는 하나의 기회였다. 그때 투자했던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계속 상승하는 주가로 인해 자신의 부를 늘린 사람들이 수도 없이 많았다. 이제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사실들을 인지하고 있지 않을까? 이러한 투자자의 관점과 평범한 국민들의 삶에서의 관점으로 영화를 풀어내서 더욱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던 영화였던 것 같다. 나쁘지 않고 재미있게 본 영화였다

반응형

댓글